✅Ternary Operator (삼항 연산자)
Python에서는 삼항 연산자 (Ternary Operator) 를 사용하여 한 줄로 조건문을 간결하게 표현할 수 있습니다. 이번 글에서는 삼항 연산자의 개념과 활용법을 알아보겠습니다.
1️⃣ 삼항 연산자란?
삼항 연산자는 if-else 조건문을 한 줄로 표현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.
기본 문법:
값1 if 조건 else 값2
✅예제 코드
x = 10
y = 5
max_value = x if x > y else y # x가 y보다 크면 x, 아니면 y
print(max_value) # 10
위 코드는 다음과 동일합니다:
if x > y:
max_value = x
else:
max_value = y
📌 삼항 연산자를 사용하면 코드가 더 간결해집니다!
2️⃣ 삼항 연산자의 활용
변수 할당에 사용
age = 18
status = "성인" if age >= 18 else "미성년자"
print(status) # 성인
함수 반환값에 사용
def check_number(n):
return "짝수" if n % 2 == 0 else "홀수"
print(check_number(4)) # 짝수
print(check_number(7)) # 홀수
리스트 컴프리헨션과 함께 사용
numbers = [1, 2, 3, 4, 5]
result = ["짝수" if num % 2 == 0 else "홀수" for num in numbers]
print(result) # ['홀수', '짝수', '홀수', '짝수', '홀수']
다중 조건 (중첩 삼항 연산자)
삼항 연산자를 중첩하면 여러 조건을 한 줄로 표현할 수도 있습니다.
score = 85
grade = "A" if score >= 90 else "B" if score >= 80 else "C"
print(grade) # B
위 코드는 아래 코드와 동일합니다:
if score >= 90:
grade = "A"
elif score >= 80:
grade = "B"
else:
grade = "C"
✅ 중첩 삼항 연산자는 너무 길어지면 가독성이 떨어질 수 있으므로 적절히 사용하세요!
📝 마무리 정리
표현 방식코드 예제설명
표현 방식 | 코드 예제 | 설명 |
기본 삼항 연산자 | x if 조건 else y | 조건이 참이면 x, 거짓이면 y 반환 |
함수에서 활용 | return "짝수" if n % 2 == 0 else "홀수" | 짝수/홀수 판별 |
리스트 컴프리헨션 | ["짝수" if num % 2 == 0 else "홀수" for num in numbers] | 리스트의 요소를 조건에 따라 변환 |
중첩 삼항 연산자 | "A" if score >= 90 else "B" if score >= 80 else "C" | 다중 조건 처리 |
📌 삼항 연산자를 활용하면 코드가 더 간결하고 직관적으로 변합니다!
'Python Basic Syntax (파이썬 기초 문법) > Operators (연산자)' 카테고리의 다른 글
Infix Notation & Postfix Notation (중위 & 후위 표기법) (1) | 2025.02.17 |
---|---|
Membership & Identitiy Operators (멤버십 & 아이덴티티 연산자) (0) | 2025.02.17 |
Bitwise Operators (비트 연산자) (0) | 2025.02.17 |
Assignment Operators (할당 연산자) (0) | 2025.02.17 |
Basic Operators (기본 연산자) (0) | 2025.02.17 |